본문 바로가기
Project

2/20 - 심화 프로젝트; 프로젝트 종료

by PETRA_94 2024. 2. 20.

[심화 프로젝트]

  • 프로젝트명: 서울 상경 프로젝트
  • 선택 주제: 서울시 전세 가격 예측 모델링 변형
  • 최종 주제: 서울시 보증금 유형별 가격 적정치 모델링 – 페르소나 중심
  • 목적: 서울시에서 치안이 좋고 보증금이 적정대인 적합한 자치구 선정
  • 목표: 직접 설정한 페르소나에게 적합한 집을 후보 4개로 제시
  • 진척도: 100% 완료
  • 데이터 출처
카테고리 데이터명 출처 사용 용도
정부 (1) 서울시 등록인구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청년 인구 파악
(2) 서울시 상권 분석서비스
(상주인구 - 자치구/행정동)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청년 인구 파악
(3) 서울시 상권 분석서비스
(직장인구 - 자치구/행정동)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서울시 연령대별 직장인구 파악
(4) 역세권 공동주택 실거래정보 국가교통 데이터 오픈마켓 유형별 실거래가 파악
(5) 전세주택 전세 보증금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유형별 전세 보증금 파악
(6) 서울시 안심이 CCTV 연계 현황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안전요인 – CCTV 대수 파악
그외 (1)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_전세가격(규모별) 한국부동산원 유형별 전세 보증금 파악
(2)서울교통공사 자치구별
지하철역 정보
서울교통공사 자치구별 지하철역 정보

  • To-do LIST

  • 회의: 총 10차 진행 (오프라인 회의 포함)

  • 결과물

 

[배운 점]

  • 팀원들의 능력이 출중하면 프로젝트 방향만 이끌어줘도 팀원들이 상당히 만족해 한다.
    => 내가 겪어본 상사 팀장님들은 모두 실무를 병행하면서 리딩을 했기에 상당히 벅차 보였는데, 역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팀장들은 다르다. (10년차 AE였던 선배이자 팀원이 말해준 사실이고, 업무 분배를 해주고 방향을 잡아주고, 조용히 기다리면 끝이라고 했다.)
  • 상대적으로 데이터 분석 쪽이나, 혹은 모델링 쪽의 코딩을 대략적으로만 알고, 강의 자료를 보면서 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걸린다. 다시 코트카타를 열심히 해야 할 듯.
  • 금번 프로젝트의 결과물 퀄리티가 압도적이었다. 모든 조에서 가장 압도적이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 단순한 주제에서 페르소나를 중심으로 현실적인 가정 상황을 그려, 해당 부분에 포커스를 두고 스토리텔링을 진행했다.
    => 그래서 전략적으로 모델링과 전처리 부분을 매우 간략히 소개했는데, 튜터들 입장에서는 배우는 수강생들이다 보니 과정에 집중하라고 하는 것 같기도 하고, 어디에 장단을 맞춰야 할지 모르겠음.
    => 하지만 나는 내 전략과 방식이 맞다고 본다. 회사에서는 코드를 어떻게 짰고, 모델링을 구축한 과정을 궁금해하지 않는다.
    => 회사에서는 결과를 중심으로 그래서 이 모델링이 어떻게 적용되고, 신뢰도가 이만큼이라는 것을 증명하면 끝이다.
  • 다른 조에서는 전처리 과정과 모델링 과정에만 집중할 뿐, 그래서 그 결과값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실제 비즈니스에서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개선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 위의 포인트가 어제 진행된 발표회에서 튜터들이 답답해하며 공통적으로 말해줬던 부분인데,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위의 관점이 적용되지 않는다. 나는 이게 수강생들의 역량도 있지만, 캠프 자체에서 리드를 해줘야 하는 부분인데, 튜터들 혹은 각 팀의 팀장들에게 역량적으로 떠맡기는 느낌을 받는다.